안녕하세요!
오늘은 실내 에어컨 냄새 없애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아직 계절이 겨울이고 날씨가 춥기 때문에
이 시기에 필요한 정보가 맞을지 고민했지만
그래도 관리는 꾸준히 해줘야 하기 때문에
이렇게 글을 작성하기로 결심했습니다
본격적으로 알아볼게요!
- 질문1. 창문형 에어컨인데 필터만 청소해주면 되나요?
창문형은 악취를 없애는 것에 대해서 살짝 까다롭습니다
물론 먼지를 제거한다거나 필터는 무조건 청소해줘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일생속에서 사용하는
에어컨에서 나는 냄새의 원인을 먼저 알아보자면,
열교환기의 습기가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았을 시
곰팡이나 세균들이 번식하기 때문에 쾌쾌한 향이 느껴집니다.
때문에 곰팡이가 없어지거나, 생겨나지 않게
관리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인데요?
그 방법은 필터청소같은 경우에는 2주에 한 번 정도
해주시면 되며 바림이 나오는 곳에 모기장처럼
촘촘한 구멍이 있는 필터가 한 가지 더 있습니다.
이 부분같은 경우는 먼지와 오염물을 걸러내는 곳이기에
항시 오염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것을 하루에 1번씩 꺼내어서 물로 새척합니다.
실내 에어컨 냄새 없애는 방법은 꾸준한 관리입니다
필터를 세제로 살짝 문질러준 후에 물로 씻어내면
오염물질을 간단하게 닦아내실 수 있습니다
오전이나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꺼내서
씻은 후에 물기를 잘 털어서 말린 후에 에어컨
사용하기 전에 넣어두시면 그날은 청결합니다.
냉각핀을 청소합시다.
냉각핀이라고 하는 것은 에어컨에는 쇠로 만들어진
침이 아주 촘촘하게 박혀있습니다 이것이 가장 중요한데,
여기는 그냥 세제를 뿌리고 물로 행구어 내면서
닦아주시면 됩니다. 물은 어차피 배수구를 통해서
빠져나가기 때문에 안심하셔도 되며, 만약 이것이
조금 찝찝하시다면 걸레를 이용해서 닦아주셔도 됩니다.
실내 에어컨 냄새 없애는 방법에서는 각종 부품들의
청결도 신경을 잘 써주어야 하는데, 그 두 번째는
"송풍구" 입니다.
송풍구에는 언제나 물기가 있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기 굉장히 쉽습니다. 이때는 에어컨을 사용 후
사용 종료 하기 전에 5분에서 10분 정도 송풍으로
돌려주시면 됩니다. 그렇게 된다면 송풍구의
습기가 마르기 때문에 세균의 번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질문2. 아침에 틀면 괜찮은데 쭉 사용하다가 오후에는 냄새가 나요
이 부분같은 경우에는 중앙냉난방 방식을 사용하는데
FCU 방식인 것 같습니다 FCU는 펜코일 유니트라는 것인데요
에어컨은 기본적으로 구조나 원리가 전원에서
필터 - 브로아휀 - 냉각핀 - 찬바람으로 이어집니다
가동하면 가장 먼저 돌아가는것이 브로야휀이
돌아가고 이때 공기를 빨아들이게 됩니다.
빨려들어간 공기가 이제는 냉각핀을 거치면서
순간적으로 차가운 공기로 변하게 됩니다
냉각핀은 자동차에서 볼 수 있는 라디에타 같이
생겼는데 이속에는 냉매 가스가 흘러 공기를
차갑게 만들 수 있는 것 입니다.이때 공기속에는
수 많은 부유물질이 같이 빨려들어가기 되는데,
일정량은 필터에서 걸러낼 수 있지만 그것이
계속해서 반복된다면 냉각핀에 쌓이게 됩니다.
이쯤에서 실내 에어컨 냄새 없애는 방법이
대충 예상이 되는 분도 계실겁니다.
그렇다면 냄새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냉각핀에 차가운 에어컨가스같은 물질이 흐르는데
차가운 콜라병 주의에 물이 생겨나듯이
냉각핀에도 습기가 맺히게 됩니다. 모든 에어컨이
그렇기 때무네 배수가 될 수 있도록 호스를
만들어놓는 이유가 됩니다
이때 냉각핀에 맺힌 습기는 먼지와 같이 섞여져서
세균을 유발하고 곰팡이를 번식시킵니다
그리고 이 세균과 곰팡이들이 마르고 습기가 차고를
반복하면서 고체상태로 굳게되는데,
그러면서 여기서 악취가 발생하는 이유가 돼죠
뿐만 아니라 에어컨의 성능마저 떨어지게 됩니다
그럼 이것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첫 번째 질문에서도 말씀드렸듯이 냉각핀에 대한
청소를 수시로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제품의 내부 구조가 굉장히 복잡하고
일반인이 진행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업체에 맡기셔서 냉각핀을
청소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실내 에어컨 냄새 없애는 방법과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